gosu 엔진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며칠간 Ruby로 어떤 클라 게임 엔진을 사용할지 선택의 기로에 놓여있었다. 후보는 mkxp-z와 gosu인데, 후자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내렸다. mkxp-z vs gosu mkxp-z gosu 1. IDE 디버깅 여부 X O 2. 한글 IME 지원 O X 3. ruby 설치 선택 필수 4. 프로젝트 규모 무거움 가벼움 5. RGSS 호환성 높음 낮음 6. 라이센스 GNU Free 7. 클라이언트 변조 쉬움 (mkxp.json, rxdata 수정) 모름 (ocra 빌드로 rb 스크립트를 캡슐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1. IDE 디버깅 여부 내가 gosu를 사용하려는 결정적인 요인이다. 이걸 지원하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엔진이라도 사용하기가 꺼려진다. 대부분에 디버깅에 많은 시간을 써야 할텐데, 예전에 했던 p/print/콘솔 출력 등을 이용하는 디버깅은 더 이상 하고 싶지 않다. mkxp-z: 제한적인 OS 에서만 IDE 디버깅을 할 수 있다. Windows에서는 IDE 디버깅을 할 방법이 없어 보인다. ruby_jard 는 Windows 에서 지원하지 않는다. ( https://rubyjard.org/docs/ ) ruby-debug-ide 로 Game.exe 내의 루비 스크립트를 IDE 디버깅 할 방법을 찾지 못했다.( https://github.com/ruby-debug/ruby-debug-ide ) 참고: https://github.com/Ancurio/mkxp/issues/198 gosu: IDE 디버깅이 가능하다. 2. 한글 IME 지원 mkxp-z: 한글 입력을 지원하는데, gosu에서는 영어만 지원한다. gosu: 한글 입력이 가능하도록 소스코드를 변경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3. ruby 설치 mkxp-z: 미리 만들어진 dll의 루비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루비 설치가 필요 없다. gosu: 개발 시에는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4. 프로젝트 규모 / 5. RGSS 호환성 mkxp-z: 프로젝트를 ...